상단영역

본문영역

69시간제 MZ의견 청취?... "세대 갈라치기 안 통할 것"

유연근무제 선호 30대 29% 40대 26% 20대 23%
직장갑질119 "근로 환경에 대한 세대간 편차 없어"

  • 기사입력 2023.03.15 16:20
  • 최종수정 2023.03.15 17:12

우먼타임스 = 곽은영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고용노동부에 MZ세대 의견을 면밀히 청취해 주 69시간제를 재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시민단체는 근로환경에 대한 연령별 이견이 거의 없다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가 근거도 없이 ‘세대 갈라치기’를 한다고 비판했다. 

윤석열 정부가 MZ세대 의견을 면밀히 청취해 주 69시간제를 재검토하라고 지시한 가운데 근로환경에 대한 연령별 이견이 거의 없으며 근거도 없이 ‘세대 갈라치기’를 멈춰야 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픽사베이)
윤석열 정부가 MZ세대 의견을 면밀히 청취해 주 69시간제를 재검토하라고 지시한 가운데 정부의 근거 없는 ‘세대 갈라치기’에 대한 비판이 나왔다. (픽사베이)

윤석열 정부가 입법예고 기간 표출된 근로자들의 다양한 의견, 특히 MZ세대 목소리를 면밀하게 청취하겠다며 주 69시간제를 재검토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근로환경에 대한 MZ세대와 40~50대 의견차가 거의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단법인 직장갑질119는 15일 지난해 12월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선호하는 복지제도’ 조사 결과 안식년 휴가, 유연근무제, 장기근속 포상 등에 있어서 세대 간 편차가 크지 않았다고 밝혔다. 

전 연령대에서 선호하는 복지제도는 ‘연차·근속년수에 따른 안식년 휴가 제공’(32.6%), ‘유연근무제 실시’(24.3%), ‘주중 조기 퇴근제’(23.4%), ‘직원 선물’(20.6%) 순으로 나타났다. 

여건에 따라 근로 시간과 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 실시’는 30대 선호도가 28.6%로 가장 높았고, 40대 26.2%, 20대 23.3% 순으로 뒤를 이었다. 

수요일 오후 퇴근 등 ‘주중 조기퇴근제’는 20대와 30대 선호도가 각각 34.9%, 32.0%로 40~50대보다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더 높았지만 ‘안식년 휴가’, ‘장기근속 포상’ 등에서는 연령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직장갑질119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근거로 “정부는 세대 갈라치기를 멈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MZ세대 목소리가 아닌 전 연령대 직장인의 목소리를 청취해야 한다는 지적인 셈이다.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임이자 의원이 “가짜뉴스와 세대 간 소통 부족 등으로 근로시간 제도 개편이 장시간 근로를 유발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켰다”고 말한 것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직장갑질119는 “오늘 이 시간에도 공짜야근, 밤샘노동에 시달리며 있는 휴가조차 쓰지 못하고 있는 현실 직장인의 실태는 전혀 모르고 ‘제주 한 달 살이’나 흥얼거리는 이정식 장관이 불러온 야근 참사에 대해 고용노동부는 아직 반성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가짜 뉴스는 ‘몰아서 일하고 제주 한 달 살이’, ‘요새 MZ세대들은 ‘부회장 나와라, 회장 나와라’고 하는 등 권리의식이 굉장히 뛰어나다’라고 한 고용노동부 장관의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6일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브리핑에서 “저축한 연장근로와 기존 연차 휴가를 결합하면 안식월, 한 달 살기 등 장기 휴가도 가능하게 된다”고 말했다. ‘기업이 연차를 못 쓰게 하는 등 악용이 일어날 경우 차단할 방법이 부족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요즘 MZ세대는 기성세대와 달리 ‘부회장 나와라, 회장 나와라, 성과급이 무슨 근거로 이렇게 됐냐’라는 등 권리의식이 뛰어나다. 적극적인 권리의식이 법을 실효성 있게 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직장갑질119는 “노동시간 단축이라는 시대의 흐름은 역행할 수 없다. 한국 사회는 주 52시간이 아니라 주 40시간 근무, 주4일제로 나아가야 한다. 현 정부가 해야 할 ‘노동1호 법안’은 ‘야근갑질 금지법’이다. 공짜야근을 낳는 포괄임금제는 규제가 아니라 금지시켜야 하고, 근로시간 기록 의무화를 통한 야근수당 보장, 근로자대표제 법제화를 통한 노동자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당신만 안 본 뉴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