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인권위 "드라마, 뉴스 등 방송 프로그램의 성 불균형 심각"

드라마·뉴스·예능 등 방송 모니터링...'남성 전문직, 여성 비정규직' 등 성 차별적 관념 부추겨

  • 기사입력 2018.05.01 17:13
  • 최종수정 2018.05.01 17:34

[우먼타임스 신동훈 기자] 방송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성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이 '남성은 전문직, 여성은 일반직·비정규직'이라는 식의 성 차별적 고정관념을 부추긴다는 지적도 나온다. 

1일 국가인권위원회는 한국방송학회가 지난해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에서 방영된 드라마·뉴스·생활교양·시사토크·오락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미디어 성차별 실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먼저 드라마의 경우, 등장인물의 직업이 전문직(사장·의사·변호사·검사·판사·교수·국회의원·장관·팀장급 이상 회사원 혹은 경찰)인 비율이 남성은 47%였던 반면에 여성은 21.1%에 그쳤다.

드라마 속 여성 등장인물은 일반직·비정규직·자영업자·무직인 경우가 남성에 비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뉴스의 경우, 오프닝 멘트의 85.2%를 남성 앵커가 담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아이템 소개는 남성 앵커가 맡고, 중반 이후의 아이템 소개는 여성 앵커가 맡는 경우가 많았다.

분야별로 보면 정치·국방·북한 관련 등 딱딱한 '경성' 뉴스는 남성 앵커가 소개하고, 경제·사회·생활정보·해외뉴스·날씨 관련 등 부드러운 '연성' 뉴스는 여성 앵커가 소개하는 비율이 높았다.

취재기자의 경우 전체 뉴스 아이템의 64%를 남성이 보도하고, 여성은 31%만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도 앵커처럼 남성 기자가 경성 뉴스를, 여성 기자는 연성 뉴스를 보도하는 경향이 강했다.

인터뷰 대상자 역시 남성이 73%였고 여성은 26%에 그쳤다. 전체 대상자 중에서 남성 전문직은 20.8%였던 반면 여성 전문직은 5.8%에 불과했다.

생활교양 프로그램은 출연진 직업군에서 성비 균형이 맞지 않았다. 남성 출연자는 의사·변호사·교수 등 전문직 비율이 높았으나, 여성 출연자는 주로 연예인이었고 전문직 비율은 남성의 절반에 그쳤다.

시사토크 프로그램의 경우 모니터링 대상 38개 프로그램 중 여성 진행자가 있는 프로그램이 단 4개였다. 오락 프로그램도 주진행자는 남성, 보조진행자는 여성인 경우가 많았다.

인권위는 "지난 10년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양성평등 조항 위반으로 다룬 안건은 74건에 불과했으며, 지난해 임기가 만료된 3기 방심위는 전원 50대 이상 남성으로만 구성됐다"고 지적했다.

인권위는 전문가들과 관계기관 의견을 수렴해 미디어 성차별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당신만 안 본 뉴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