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광산업, 자사주 기초 교환사채 발행 전면 철회…“시장 변화·주주 의견 반영”
우먼타임스 = 장준형 기자
태광산업이 자사주를 기초자산으로 한 교환사채 발행 계획을 전면 철회하기로 했다. 회사는 24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발행 계획을 취소하기로 최종 의결했다고 밝혔다.
태광산업은 교환사채 발행 결정 이후 반대 의견을 제기한 주주들을 비롯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의견을 교환해 왔다. 그 과정에서 지난 5개월간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시장 환경도 급변했다는 점을 확인했다. 회사는 이해관계자의 우려, 시장 여건 변화, 정부 정책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발행 철회가 불가피하다고 결론 내렸다.
태광산업은 현재 석유화학·섬유 산업의 구조적 부진 속에서 심각한 실적 악화를 겪고 있다. 2018년 3조원을 넘었던 매출은 지난해 2조 2122억원으로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022년부터 적자로 돌아섰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손실은 2891억원에 달한다. 회사는 기존 주력 산업의 불황을 돌파하기 위해 신사업 중심의 대대적인 사업 재편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태광산업은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신사업 전략이 구체화되며 올해 남대문 메리어트 호텔과 애경산업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향후 화장품·에너지·부동산·조선업 등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계획도 세운 상태다. 그러나 이러한 신사업 진출과 기존 사업 구조 재편에는 상당한 규모의 자금이 필요하다. 가동 중단 설비 철거와 인력 재배치 비용뿐 아니라, 업황 불확실성에 대비한 약 5600억원 규모의 예비운영자금 확보도 필수적이다.
태광산업이 당초 추진했던 교환사채 발행은 이러한 대규모 사업 재편 비용과 신사업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회사가 보유한 자사주를 기초자산으로 투자자에게 넘기고 자금을 조달하는 구조로, 주가가 안정적일 때는 빠르고 효율적인 조달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주가 하락으로 교환권 매력이 크게 떨어지고, 주요 주주들의 반발까지 더해지면서 발행 여건이 급격히 악화된 것이 철회의 배경으로 분석된다.
이로 인해 태광산업은 앞으로 외부 차입 등 다른 자금조달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회사는 “사업 재편과 운영자금 확보 과정에서 주주와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주주가치 제고와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